본문 바로가기
육아정보

학습장애: 유형 이해하기

by 고봉2 2023. 10. 28.
반응형

부모님에게는 아이들의 교육과 발달에 대한 걱정이 항상 따라다닙니다. 아이가 학습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다면, 그 걱정은 더 커질 것입니다. 이 블로그 게시물에서는 부모님들이 아이의 학습 어려움, 특히 학습장애에 대해 이해하고, 어떻게 지원할 수 있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학습장애란 무엇인가요?

1. 학습장애의 개념

아이가 공부를 힘들어하고 못하다고 해서 항상 학습장애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학습장애는 평균 이상의 지능을 가진 아이들 중에서도 특정한 학습 기술에서 심각한 어려움을 겪는 경우에 해당합니다.

2. 학습장애의 유형

학습장애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1) 읽기 장애

책읽는 아이

  • 읽기 장애는 학령기 아동 중 2~8%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됩니다.
  • 이러한 아이들은 글자와 소리를 연결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읽는 속도가 느리며 내용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2) 쓰기 장애

글쓰는 아이

  • 쓰기 장애는 주로 한글에서 발견되며 읽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 아이들은 글씨 쓰기, 철자, 문장 구성, 작문 등에서 어려움을 겪고, 글을 읽을 때와 마찬가지로 속도가 느리며 오류가 많습니다.

(3) 수학 장애

수학 하는 아이

  • 수학 장애를 가진 아이들은 숫자와 수학 개념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사칙 연산과 고급 수학 개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합니다.
  • 이들은 계산 과정에서 실수를 자주 하며, 문제 해결 능력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학습장애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학습장애는 단순히 지능의 문제가 아닙니다. 이러한 어려움은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뇌 발달 이상, 선천적 발달 지연, 인지 및 정서적인 문제, 교육 환경 등이 합쳐져 복합적인 원인을 만들어냅니다.

특정학습장애와 관련된 연구에서는 왼쪽 뇌의 언어와 읽기와 관련된 영역에서 구조적이거나 기능적인 이상이 발견되기도 합니다. 또한 가족력이 있는 경우 발병 위험이 더 높다고 알려져 있으며, 1차 친족에서 읽기 장애는 4~8배, 수학장애는 5~10배 발병률이 높습니다.

학습장애의 진단과 조기 발견

일반적으로 학습장애는 아이가 초등학교에 들어가면서 처음으로 발견되곤 합니다. 읽기 장애가 경미한 경우에는 조기 진단과 치료로 문제가 개선될 수 있지만, 중등학교까지 미뤄질 경우 문제가 계속되고 학업 성취도가 낮아질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학습장애의 예후

학습장애를 가진 아이들은 더 많은 지원이 필요하며,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학업 성취도가 낮아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이러한 어려움은 아동의 정서적인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며, 우울과 자존감 문제 등의 정신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학습장애를 가진 아이들에게는 지속적인 지원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학습장애의 역학 및 통계

학습장애의 유병률은 학령기 아동에서 5~15%로 보고되며, 성인에서는 약 4%로 추정됩니다. 읽기 장애는 국내 초등학교3~4학년 학생 중에서 약 3.8%의 유병률을 보이며, 수학 장애의 경우는 1% 정도 입니다.

학습장애에 대한 부모의 역할

부모님들은 아이가 학습장애로 어려움을 겪을 때 어떻게 지원할 수 있을까요? 다음은 부모님들이 취할 수 있는 조치입니다:

1. 조기 진단

아이의 학습 어려움을 조기에 인지하고 전문가의 도움을 찾아주세요. 조기 진단은 문제를 조기에 해결하는데 중요합니다.

2. 전문가의 조언 따르기

전문가의 조언을 따르고 아이에게 필요한 치료와 지원을 제공하세요.

3. 이해와 지지

아이가 어려움을 겪을 때 이해하고 지지해 주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4. 학교와 협력

아이의 학교와 소통하고 협력하여 아이가 특별한 교육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5. 긍정적인 환경 제공

아이에게 긍정적인 학습 환경을 제공하고, 책과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도하세요.

결론

학습장애는 지능의 문제가 아닌 다양한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부모님들은 아이가 학습장애를 겪을 때 조기 진단과 적절한 지원을 제공하여 아이의 학습 여정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이해와 지지, 전문가의 도움, 그리고 긍정적인 환경이 아이의 학습장애를 극복하는데 필수적입니다. 함께 아이의 미래를 밝게 만들어봅시다.

참고문헌

  1. Dawson, P., & Guare, R. (2009). Smart but Scattered: The Revolutionary "Executive Skills" Approach to Helping Kids Reach Their Potential. The Guilford Press.
  2. Shaywitz, S. E. (1998). Dyslexia.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38(5), 307-312.
  3. Willcutt, E. G., Pennington, B. F., Olson, R. K., Chhabildas, N., & Hulslander, J. (2005). Neuropsychological analyses of comorbidity between reading disability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search of the common deficit.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27(1), 35-78.
  4. 박, 수민. (2016). 학습장애아 어휘, 언어개발특성에 따른 맞춤형 교수. 열린교육, 24(3), 47-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