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정보

2024년 6+6 부모 육아휴직제

by 고봉2 2023. 10. 30.
반응형

부모로서 가족과 직장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하려는 과제는 매우 중요하고 복잡한 일입니다. 특히 저출산 문제와 고령화 사회로의 전환에 직면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는 이 문제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회적 도전에 대처하기 위해 정부는 '6+6 부모 육아휴직제'를 도입하였습니다. 이 글에서는 '6+6 부모 육아휴직제'의 개요, 필요성, 적용 방법, 그리고 부모와 가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6+6육아휴직 썸네일

1. 6+6 부모 육아휴직제란?

'6+6 부모 육아휴직제'는 부모들에게 돌봄이 필요한 생후 18개월 내 자녀를 돌보기 위한 혁신적인 육아 지원제도입니다. 이제 이제 부모들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육아휴직을 사용할 때, 처음 6개월 동안은 통상임금의 100%를 육아휴직 급여로 받게 됩니다. 이전에는 3개월이었던 특례 적용기간도 6개월로 연장되었습니다. 또한, 육아휴직 급여 상한액도 월 최대 200만원에서 450만원으로 상향조정되어 가족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줍니다.

육아휴직

2. 6+6 부모 육아휴직제의 필요성

2.1. 저출산 대책의 일환

한국은 고령화와 저출산이라는 중요한 사회적 문제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저출산 대책의 핵심은 부모들이 자녀 양육과 직장 생활을 균형 있게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입니다. '6+6 부모 육아휴직제'는 이러한 대책의 일환으로, 부모들이 자녀를 돌보며 직장에서도 활약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2.2. 아빠들의 육아 참여 촉진

남성 육아휴직자의 비율이 꾸준히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여성이 압도적으로 많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6+6 부모 육아휴직제'는 남성들의 육아 참여를 더욱 촉진함으로써 맞벌이 부부의 공동 육아 역할을 더욱 강조합니다.

휴직급여

3. 6+6 부모 육아휴직제의 적용 방법

'6+6 부모 육아휴직제'의 적용 방법은 간단합니다. 자녀가 생후 18개월 내인 부모들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육아휴직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처음 6개월 동안은 각 부모가 통상임금의 100%를 육아휴직 급여로 받게 되며, 이 기간의 급여 상한액은 월 최대 450만원입니다.

○ (개선방향) “3+3 부모육아휴직제”를 “6+6 부모육아휴직제”로 확대 개편

➊ 사용가능 자녀연령: 생후 12개월 내 → 생후 18개월 내

➋ 특례 적용기간: 첫 3개월 → 첫 6개월

 * 자녀 생후 18개월 내 부모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육아휴직 사용 시, 첫 6개월에 대해 부모 각각의 육아휴직 급여 상향(통상임금 80% → 100%)

➌ 상한액: 월 최대 200~300만원 >> 월최대 200~450만원

 * (1개월) 200만원 (2개월) 250만원 (3개월) 300만원 (4개월) 350만원 (5개월) 400만원 (6개월) 450만원

4. 6+6 부모 육아휴직제가 부모와 가족에 미치는 영향

'6+6 부모 육아휴직제'는 부모와 가족에 다양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4.1. 부모와 자녀 간의 더 많은 시간

이 제도를 통해 부모들은 자녀와 보다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습니다. 초기 양육은 아이의 발달에 매우 중요한 시기인데, 이 기간 동안 부모가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자녀의 건강한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4.2. 부모의 직장 유지 및 경제적 안정

'6+6 부모 육아휴직제'는 부모들이 자녀를 돌보며 직장 생활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높은 육아휴직 급여와 상한액 상향조정은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줄여주며, 부모가 안정적으로 일자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5. 2024년 6+6육아휴직제도 고용노동부 자료 다운로드

10.6 고용보험법 및 고용산재보험료징수법 하위법령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고용보험기획과)

10.6 고용보험법 및 고용산재보험료징수법 하위법령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고용보험기획과).pdf
0.19MB

6. 결론

'6+6 부모 육아휴직제'는 현대 사회의 도전적인 가족과 직장의 균형 유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혁신적인 제도입니다. 부모들에게 자녀 양육과 직장 생활을 조화롭게 이어가도록 지원함으로써, 한국 사회의 고령화와 저출산 문제를 극복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원 제도를 통해 부모와 가족 모두가 건강하게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참고 문헌: 고용노동부, "부모육아휴직제 개선안," 202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