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20

아기 열내리는 법 7가지 : 효과적인 대처 방법 아기가 열을 가질 때, 부모는 효과적인 열 내리기 방법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아기의 체온을 안정시키는 것은 중요합니다. 38도 미만이면 미열, 이상이면 고열입니다. 체온계 사용법 고막체온계 적외선을 이용해 순간적으로 고막의 체온을 측정하는 방식 보통 겨드랑이 체온 보다 0.5도 높게 측정됩니다. 고막체온계는 어른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아이한테 안 맞아 체온이 낮게 측정될 수 있습니다. 올바른 측정법은 귓바퀴를 살짝 잡아당겨 체온계 끝이 고막과 일직선으로 마주 보도록 합니다. 한 손으로 아이의 머리를 고정한 후 측정부를 귓속에 넣고 1~2초 후 버튼을 누릅니다. 정확한 측정을 위해 2~3회 반복합니다.. 38도 이상이면 열이 있다고 봅니다. 전자체온계 온도측정 센서가 달린 전자식 체온계는 혀밑, 겨드랑.. 2023. 7. 6.
돌발진 증상 : 발열, 열꽃 돌발진은 장미진(roseola)라고도 불리며 제6형 인헤르페스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장미 지는 보통 만 1세 어린이에게 발생하는 흔한 감염입니다.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파되는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합니다. 고열과 함께 가렵거나 아프지 않은 발진이 생길 수 있습니다. 장미진 환자의 약 4분의 1이 발진이 발생합니다. 돌발진은 일반적으로 심각하지 않으며 일주일 정도 지나면 저절로 사라집니다. 돌발진의 치료에는 시원한 물수건과 열을 낮추는 약물이 있습니다. 증상 자녀가 수족구병 환자에게 노출되어 바이러스에 감염된 경우, 감염 징후와 증상이 나타나기까지 1~2주가 걸릴 수 있습니다. 또는 전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장미진에 감염되었지만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돌발진 증.. 2023. 7. 5.
수족구병 증상 및 원인, 예방 수족구병은 어린아이들에게 흔히 발생하는 경미한 전염성 바이러스 감염입니다. 증상으로는 입안의 궤양과 손과 발의 발진이 있습니다. 수족구병은 콕사키바이러스에 의해 가장 흔하게 발생합니다. 수족구병에 대한 특별한 치료법은 없습니다. 손을 자주 씻고 수족구병에 걸린 사람과의 밀접한 접촉을 피하는 것이 자녀의 감염 위험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증상 수족구병은 다음 증상을 모두 유발하거나 일부만 유발할 수 있습니다. 발열. 인후통. 속이 메스껍습니다. 혀, 잇몸, 뺨 안쪽에 통증이 있는 물집 같은 병변. 손바닥, 발바닥, 때로는 엉덩이에 발진. 영유아의 보챔. 식욕 부진. 최초 감염 후 증상이 나타날 때까지의 일반적인 기간(잠복기)은 3~6일입니다. 어린이는 열이 나고 인후통이 생길 수 있습니다. .. 2023. 7. 4.
신생아 고열? : 신생아 폐렴 원인, 증상, 진단과 치료 신생아 폐렴은 신생아기, 즉 태어난 지 28일 이내의 영아들이 폐렴에 감염되는 상황을 말합니다. 신생아에게 심각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감염성 질환입니다. 신생아 폐렴은 조기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며, 예방을 통해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1. 원인 신생아 폐렴의 주요 원인은 세균 감염입니다. Streptococcus pneumoniae, Group B Streptococcus, Escherichia coli와 같은 세균이 주로 신생아 폐렴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바이러스도 신생아 폐렴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신생아가 어떤 감염원에 노출되었는지, 태어난 시기에 어떤 감염 위험이 있는지 등 여러 요인이 신생아 폐렴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2. 증상 신생아 폐렴의.. 2023. 7. 3.
태동 시기 : 태동 언제부터 느껴지며 어떻게 변하나 손발로 엄마 배를 툭툭 차고 몸을 이리저리 움직이면서 태아는 엄마에게 자신의 존재를 알린다. 엄마와 태아가 나누는 처 번째 교감 바로 태동이다. 잘 느끼고 제대로 반응해 주면 태아는 더욱 건강하게 자란다. 태동 임신 5개월부터 느낄 수 있다. 태아는 임신 8주 정도 되면 위치를 바꾸거나 몸을 움직이기 시작하는데, 실제로 엄마가 태동을 느끼는 시기는 임신 18주 전후이다. 초산인 경우 임신 18~20주, 경산부는 15주~17주에 느낄 수 있다. 하지만 평균치일 뿐 20주 이후에 느끼는 경우도 많다. 경산부가 초산부보다 빨리 느끼는 이유는 이전의 출산 경험으로 복벽이 늘어져 태아의 움직임이 쉽게 전달되기 때문이다. 또 날씬한 임산부가 상대적으로 태동을 일찍 느끼고 더 많이 느낀다. 자국벽과 자궁을 둘러싸고 .. 2023. 7. 2.